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2 No. pp.56-63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7.2.5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eng-Mi Son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Son, Haeng-Mi Department of Nursing,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44610, Korea. Tel: +82-52-259-1239, Fax: +82-52-259-1236, E-mail: sonhm@mail.ulsan.ac.kr
April 23, 2017 ; May 14, 2017 ; May 19, 2017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CA), according to theoretical foundation.


Methods:

QCA explained concepts and procedures systematical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r’s analytical thinking.


Results:

QCA was one of the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in which meanings can be derived from the text and various material such as video, articles, and books etc. QCA classified three approaches, including: conventional, directed, and summative content analysis. Despite there being no systematic rule of analysis of QCA, the process of the QCA was suggested as: preparation, organizing, and reporting phas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unit of analysis was selected during preparation phase. Both, coding and categorization were generated during the organizing phase.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were described with either conceptual map or model during the Reporting Phas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of the application between QCA and thematic analysis, along with grounded theory. The trustworthiness was affirmed for the validity of the results.


Conclusion:

Researchers who want to apply the QCA require understanding of its method, sufficiently. It is emphasized that QCA should exhibit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from the data in some degree, in order to not defect the essenti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질적내용분석의 이해와 적용

손 행 미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내용분석이 연구방법으로 활용된 역사는 짧지만 의사소통 자 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시도한데서 역사적 자취를 찾아 볼 수 있다. 내용분석은 양적 연구방법에서 주로 활용되었던 연 구방법이며 2차 세계대전에서 방대한 의사소통 자료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양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었다(Kohlbacher, 2006). 또한 프로이드의 꿈의 분석과 같은 언어 자료의 분석에 서 내용분석을 활용하면서 양적접근이 감소하였고, 체계적으 로 신문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뉴스기사를 범주화하고 다른 신 문과 비교하는데 내용분석이 활용되었다. 이후 내용분석은 사 회학의 경험적 연구의 표준도구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였으며, 특히 언론학에서 뉴 스기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심리학 이나 교육학, 역사, 인문학과 같은 다른 학문분야에서도 내용 분석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내용분석의 분석 과정을 더욱 정 교화하고 의사소통 이론의 분석도구로 내용분석이 요구되기 도 하였고, 이즘에 양적내용분석과 질적내용분석 사이의 논쟁 이 시작되었다(Mayring, 2014).

    내용분석은 현상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양화 하는 연구방법이고 자료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론적 이슈를 검 증하는 방법이다(Elo & Kyngas, 2008). 내용분석은 방대한 양 의 자료를 비교적 쉽게 분석할 수 있어 양적인 자료나 질적인 자료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알려져 있 다(Cho & Lee, 2014). 이는 연구자의 이론적 관심과 실제 연구 문제에 대한 관심에 따라 연구방법의 선택이 다양할 수 있음을 (Spannagel, Glaser-Zikuda, & Schroeder, 2005) 시사한다.

    최근 질적연구에서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데, 모든 질적 연구방법의 적용과 마찬가지로 연 구자가 질적내용분석방법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적용함으로 써 독자가 신뢰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용분석이 질적연구방법에 도입되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 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질적내용분석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봄으로써 질적내용 분석 연구방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본고의 내용은 질적내용분석의 개념과 분류, 분석과정을 설명하고 다 른 질적연구방법과 질적내용분석의 비교, 그리고 연구의 진가 입증(trustworthiness)으로 구성하였다.

    본 론

    1. 질적내용분석의 개념

    질적내용분석방법은 자료를 분석하고 자료의 의미를 해석 하는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이다. 질적내용분석은 텍스트 분 석을 인상적, 직관적인 혹은 해석적 분석에서부터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융통성이 많은 텍스트 분석방 법이다(Cavanagh, 1997). 양적인 내용분석이 분석과정에서 텍스트를 양적인 단위로 쪼개기 때문에 텍스트 내용의 의미를 너무 단순화하고 왜곡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내용분석 의 확장 적용이 모색되었다. 이에 Kracauer (1952)는 질적연구 는 전체 자료에서 자료의 의미와 통찰력을 끌어낼 수 있기 때문 에 질적내용분석이 유용함을 제시하였다(Cho & Lee, 2014). 그러므로 질적내용분석은 양적 연구의 내용분석에 대한 하나 의 반응으로 다양한 질적연구방법 중의 한가지로 활용되어 왔 다. 내용분석이 양적 연구에서 의사소통 연구에서부터 활용되 기 시작한 것처럼 질적 연구에서도 텍스트의 내용과 맥락적 의 미에 관심을 갖고 의사소통하는 언어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이 거나 추론된 의사소통 내용을 범주화하면서 내용분석이 활용 되기 시작하였다(Hsieh & Shannon, 2005).

    내용분석의 정의가 폭넓어 메시지의 구체적인 특성을 객관 적이고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어떠한 추론 기법을 사용해 도 된다는 Holsti (1969)의 언급은 분석의 자료가 텍스트 뿐만 아니라 비디오로 녹화된 행동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 적 용할 수 있다(Steve, 2001)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질적내용분 석은 체계적인 분석을 위한 다양한 분석기법을 적용할 수 있음 도(Spannagel et al., 2005) 시사한다.

    질적내용분석의 목적은 연구현상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제 공하는 것이므로 서면화된 혹은 구술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 하여 유사한 의미를 갖는 범주로 분류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Moretti et al., 2011). 질적내용분석에서 활용되는 자료는 이 야기 자료, 개방형 설문지, 개별 심층면담, 포커스그룹 면담, 관 찰, 혹은 책이나 기사와 같은 서면화된 자료 등이다. 자료수집 은 연구자가 직접 연구참여자를 만나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 집을 할 수도 있고, 신문, TV 등의 메시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할 수 있어 보다 객관적인 자료수집도 가능하다. 질적내용분석 에서 자료분석은 다른 질적연구방법의 분석과정에서 기본적 으로 수행되는 코딩과정을 거쳐 많은 양의 텍스트를 몇 개의 범 주로 조직화하는 것과 유사한다. 특히 텍스트 자료를 범주로 코 드화한 후 통계를 사용하여 기술하기도 하는데 이를 질적자료 의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라고 한다(Hsieh & Shannon, 2005).

    이상에서 질적내용분석은 코딩 과정의 체계적인 분류를 통 해 텍스트 자료의 내용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연구방법 으로 주제나 패턴을 확인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질적 자료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자 료분석에서 연역적 접근이나 귀납적 접근을 혹은 두가지 접근 을 혼용할 수 있으며(Cho & Lee, 2014;Elo & Kyngas, 2008) 코딩에서는 자료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외연적 의미를 코딩 하고(manifest content) 텍스트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코딩하는(latent content) 것을 포함해야 한다(Graneheim & Lundman, 2004). 이러한 측면은 질적내용분석에서 자료에 대 한 연구자의 해석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 다(Schreier, 2014).

    그런데 연구자의 해석은 자료의 질과 연구자의 분석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질적내용분석은 표준화된 분석방법의 부 재와 연구자의 분석 능력 부족으로 인하여 연구결과를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연구자의 해석에 제한이 있으며 포화가 이루어지 지 않은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참여자의 경험을 잘 기술할 수 없 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Elo et al., 2014). 이는 질적내용 분석 결과의 진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자료의 풍요함 과 포화, 적절성, 그리고 연구자의 질적내용분석에 대한 충분 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질적내용분석 분류

    질적내용분석의 분류는 Hsieh와 Shannon (2005)이 제시 한 3가지 방법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전통적 내용분석(conventional content analysis)은 귀납 적 접근을 통해 범주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주로 면담자료나 개 방형질문에 응답한 자료를 분석한다. 연구자는 자료를 반복적 으로 읽으면서 자료 전체의 의미를 파악한 후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의미있는 단어나 구, 문장에 집중하면서 자료를 읽는다. 초기 코딩계획에서 코드에 이름을 붙인다. 생성된 코드의 관련 성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관련성 있는 코드끼리 그룹을 만들 어 분류하여 하위범주로 생성하며 이러한 하위범주는 추상성 이 높은 더 작은 수의 범주로 분류한다. 생성된 코드, 하위범주, 범주의 정의를 내리고, 하위범주와 범주의 관련성(원인, 결과 등)을 확인한다. 코딩과정에서 나무 다이어그램과 같은 계층적 구조(hierachical structure)를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지시적 내용분석(directed content analysis)은 기존의 이 론이나 선행연구를 이용하여 내용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 방법 은 기존의 이론이나 선행연구가 불완전하거나 내용분석을 통 해 기존 이론이나 선행연구에 도움이 될 결과를 제시하고자 할 때 시행한다. 따라서 이 방법 적용의 목표는 기존 이론의 타당 성 확인과 개념적 확장이 되며 방법론적으로 연역적 접근을 한 다. 기존 이론은 이론에서 흥미 있는 변수에 대한 예측이나 제 시된 변수간의 관련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수가 진행할 연구 의 범주가 된다. 이렇게 이미 정해진 각 범주의 정확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각 범주의 조작적 정의를 한다. 초기 코딩의 범주 는 기존이론이나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주요 개념이나 변수(범 주)를 자료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자료를 읽으면서 부가적인 새로운 범주를 생성할 수도 있다. 기존이론에서 제시 하고 있는 견해와 반대되는 범주나 기존이론을 정련하고 확장 하고 풍부하게 할 새로운 범주를 확인한다. 하위범주는 범주의 유형과 폭에 따라 확인된다. 연구결과는 기존 이론을 지지하거 나 지지하지 않은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는 전 형(exemplar)과 함께 코드를 제시하거나 빈도, 순서, 백분율과 같은 기술 통계와 함께 제시할 수도 있다. 지시적 내용분석의 이해를 돕고자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Kübler-Ross의 애도의 5단계(부정, 분노, 부정, 협상, 우울, 수용)를 중심으로 말기 환자의 정서과정을 기술하 고자 할 때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5단계의 애도 반응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한다. 그런 다음, 필사된 자료를 주의깊게 읽으면서 5단계의 정서반응 범주를 이용하여 코딩을 한다. 5단 계의 정서반응의 범주로 코딩되지 않는 자료는 연구자가 새롭 게 명명한다. 하위범주를 결정한다. 연구결과는 Kubler-Ross 의 이론을 지지하는지 혹은 다른 정서 반응을 보이는지를 비교 하여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한다.

    지시적 내용분석은 기존이론의 지지나 확장 측면에서 유용 할 수 있으나 이론의 강조로 인해 연구자는 편견을 갖고 자료를 분석할 수 있고, 연구현상의 맥락적 측면을 간과할 수 있다.

    총괄적 내용분석(summative content analysis)은 자료에 서 단어나 내용의 맥락적 활용을 이해할 목적으로 텍스트에서 특정 단어(keywords)나 내용을 확인하고 양적으로 제시한다. 자료를 분석하기 전과 분석동안에 특정 단어를 먼저 확인한다. 텍스트 자료에서 특정 단어나 내용의 빈도 세기에 초점을 맞춰 특정 단어나 내용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특정 단어나 내용 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발견한다. 자료분석은 확인한 단어나 내용의 빈도를 검색하여 빈도를 세는데 이때 단어나 내용의 출 처나 언급한 사람까지도 확인한다. 자료에서 단어 사용과 관련 된 맥락의 해석도 한다. 특정 단어의 사용을 탐색하고 정상적 인 사용에서 단어가 가질 수 있는 의미의 범위도 발견한다. 예 를 들어, 죽음, 죽다, 죽어가는 것 등과 같이 죽음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와 지나가는 것, 더 좋은 곳으로 가능 것과 같이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한 단어에 관심을 갖고 의사- 환자 의사 소통의 효율성을 연구할 때, 먼저 죽음, 죽다, 죽어가는 것의 빈 도를 센다. 그런 다음 죽음, 죽다, 죽어가는 것을 대신하여 사용 하는 완곡한 표현을 확인한다. 사용된 죽음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과 완곡한 표현을 비교하면서 맥락을 확인한다. 연구결과 에서는 의사- 환자 의사소통에서 완곡한 표현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분석과정

    질적내용분석에서 자료의 구조(structure)와 의미(meaning) 를 분석해야 한다(Marying, 2014). 일반적으로 질적내용분석은 준비단계, 조직단계, 그리고 분석과정과 결과 보고단계의 3단계 로 제시되며 이는 연역적으로 혹은 귀납적으로 접근을 할 수 있 다. 귀납적 접근은 연구 현상에 대한 선행지식이 충분하지 않거 나 선행 지식이 통합적이지 않을 때 사용하며 자료에서 범주를 도출하며, 연역적 접근은 분석의 구조가 선행 지식에 근거하여 조작화되거나 연구의 목적이 이론 검증을 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다(Elo & Kyngas, 2008). 여기서는 Elo와 Kyngas (2008) 가 제시한 질적내용분석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Figure 1).

    준비단계에서 분석의 단위(unit of analysis)를 선택하는데 이것은 단어나 주제가 될 수 있다. 분석의 단위를 선택하기 전 에 무엇을 분석할 것인가와 표본 추출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의 단위가 분석을 쉽게 할 수도 혹 은 어렵게 할 수도 있음을 기억한다. 분석의 단위가 너무 좁으 면 결과가 파편이 될 수 있다. 연구질문에 따라서 분석의 단위 가 문자, 단어, 문장, 문단 등이 될 수 있다. 분석의 단위에서 코 드를 생성하는 예를 Table 1에 제시하였다.

    귀납적 접근에서는 질적자료를 조직화한다. 이 과정은 개방 코딩을 하고 범주를 도출해내고 추상화가 높은 순서로 범주를 분류하여 추상화시키는 것이다. 추상화는 생성된 범주를 통해 서 연구 주제의 일반적 기술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Table 2는 코드에서 하위범주, 범주, 주제를 도출하고 추상화하는 과 정을 보여주는 예이다. 연역적 접근에서는 종종 새로운 맥락에 서 존재하는 자료의 재검증(retest)을 위해 연구자가 원하는 사 례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범주, 개념, 가설 검증을 포함할 수 있 다. 연역적 접근은 범주화 매트릭스(categorization matrix)를 개발한다. 연역적 접근에서는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의 구조화 된 혹은 구조화하지 않고 자유롭게 매트릭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자료의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된 범주의 실예나 기존연구와 일치하는지를 코딩한다. 범주가 적절히 개념을 나 타낼 때 매트릭스는 타당하다. 비구조화된 매트릭스를 사용할 때는 다양한 범주가 생성될 수 있고, 이때는 귀납적 원칙을 따 른다. 구조화된 매트릭스는 자료가 분석 매트릭스에 적합한지 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것은 범주, 개념 모델 혹은 가설을 검증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과정과 결과를 보고하는 단계에서는 모델, 개념체계, 개념 지도 혹은 범주를 제시한다 (Tables 1, 2).

    4. 다른 질적연구방법과 질적내용분석의 비교

    1)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

    앞에서 언급했듯이, 귀납적 접근은 자료에서 드러나는 하위 주제와 주제를 발견하는 방법이고 연역적 접근은 이미 연구자 가 알고 있는 이론에 근거하여 자료에서 주제를 찾아내는 방법 으로 두가지 접근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연구결과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Cho와 Lee (2014)의 미국의 한국 노인의 요양 원에서의 경험을 귀납적으로, 그리고 연역적으로 접근한 결과 를 소개한다(Tables 3, 4).

    2) 주제분석과 질적내용분석

    Vaismoradi, Turunen과 Bondas (2013)는 주제분석방법 과 내용분석방법의 차이점을 Braun과 Clarke (2006)의 주제 분석 단계와 Elo와 Kyngäs (2008)의 내용분석 단계를 비교하 여 소개하였다. Braun과 Clarke (2006)은 주제분석의 단계를 자료와 친숙해지기, 초기 코드 생성하기, 주제 확인하기, 주제 정의 및 이름붙이기, 보고서 작성하기의 단계로 제시하면서 각 단계마다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자료와 친 숙해지기 위해서 연구자는 전사한 자료를 읽으면서 초기 생각 을 메모한다. 초기 코드 생성은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서 관련성 있는 코드끼리 분류하는 것이다. 주제확인은 관련성 있 는 코드를 모아서 주제 지도를 만든다. 주제 정의하고 이름붙이 기는 각 주제를 정련하고 각 주제의 정의와 이름을 명확히 생성 한다. 보고단계에서는 분석의 마지막 기회로 연구질문과 관련 성 있는 문헌고찰로 되돌아가 추출된 주제에 대한 마지막 분석 을 하고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반면에 내용분석은 Elo와 Kyngäs (2008)가 제시한 준비단계, 조직화단계, 보고단계의 세 단계로 제시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참 고한다.

    주제는 범주(category), 영역(domain) 등의 용어와 함께 사 용될 수 있으며 주제는 분석을 통해 조각난 자료를 관련성을 갖 고 통합하며 개념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내용(content) 과 주제(theme)는 차이가 있다는 견해이다. 그러므로 주제분 석쪽으로 치우칠수록 질적연구의 특성이 강화되고 내용분석 쪽으로 치우칠수록 양적 연구의 특성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고(Vaismoradi et al., 2013) 할 수 있다.

    3) 근거이론과 질적내용분석

    근거이론은 연구현상의 실체 영역에 대한 근거이론을 제시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내용분석은 자료를 코딩하여 분류하여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통해 분석의 정교함이나 이론화의 차원에서 차이점이 있다. Cho와 Lee (2014)는 근거 이론과 질적내용분석의 방법론적 차이점을 철학적 배경, 특성, 연구목적, 분석과정, 연구결과, 평가기준, 장단점의 측면에서 자세하게 비교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근거이론은 상징적 상호 작용론을 철학적 배경으로 하여 지속적인 비교분석, 이론적 표 본추출, 그리고 자료의 해석과정을 통해 근거이론을 생성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자료분석은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 딩 등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반면에, 내용분석은 특정 철 학적 관점이 없으며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여 내 용의 표면적 의미와 잠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내용분석은 범주나 주제를 개발하되 자료가 보여주는 의미 를 기술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 된다(Cho & Lee, 2014).

    5. 진가 입증(trustworthiness)

    질적 연구방법으로 질적내용분석이 흔히 사용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연구결과의 진가입증은 체계적으로 평가되지 못 하고 있다(Elo et al., 2014). Sandelowski (1993)는 좋은 연구 결과를 생성하고 연구의 진가입증을 위해 사용한 연구방법을 이해하는 것은 연구자로서 도전이 된다고 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결과에 관심을 가질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논쟁을 지지하 는 것이기 때문에(Lincoln & Guba, 1985) 질적 연구결과의 신 뢰도와 타당성 확보차원에서 중요하다. 그러므로 질적 연구의 질 평가는 연구자에 의해 제시된 연구결과가 잘 기술되었는지 를 정확히 사정하기 위해 시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 는 평가 용어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적내용분석 연구의 평가에 사용되는 용어가 진가입증(trustworthiness), 타 당성 확립(verification), 진실성 확보(authenticity)와 같이 다양 한 용어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연구결과의 진가입증은 연구결과 를 생성해 내기 위해 사용된 자료의 질, 연구 과정, 연구자의 연구 수행 자질과 관련하여 평가한다. 질적 연구 평가기준으로 Lincoln과 Guba (1985)는 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을, Sandelowski (1986)는 신뢰도(credibility), 적합성(fittingness), 감사가능 성(auditability),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이 제시한 평가기준은 용어의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기준이 의미하는 바는 유사하다. 신뢰성은 연구자료가 신빙성이 있고 모든 연구과정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기술되었는가의 문제이고, 감사가능성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같은 맥락에 있는 연구참여자에게서 같은 연구결과가 일관성있게 반복하 여 나타날 수 있는가의 문제이며 적합성은 다른 연구현장이나 연구참여자에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있는 일반화의 문제이며, 확인가능성은 연구과정과 연구결과의 편견이 없는 것을 의미 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연구수행과 보고에서 중립 유지를 하였 는가의 문제이다(Sandelowski, 1986).

    Elo 등(2014)은 질적내용분석의 각 단계에서 연구의 진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구자가 확인해야 할 사항을 체크리스트 로 제시하였다. 준비단계에서는 자료수집방법과 표본추출 전 략과 관련한 내용을 확인해야 하며, 분석을 조직화하는 단계에 서는 범주화와 범주의 추상화, 자료의 해석, 그리고 제시된 자 료의 대표성과 관련하여 연구자가 점검해 봐야 할 사항을 제시 하였으며, 보고단계에서는 연구결과 보고와 분석과정 보고와 관련하여 연구자의 점검 사항을 제시하였다. Elo 등(2014)이 제시한 체크리스트도 Lincoln과 Guba (1985)Sandelowski (1986)가 제시한 평가기준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다고 본다. Elo 등(2014)이 제시한 체크리스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준비단계

    • • 자료수집: 어떻게 가장 적절한 자료를 수집할 것인가?, 이 방법이 연구질문에 대한 답을 얻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인 가?, 기술적 혹은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해야만 하는가?, 연구자로서 자료수집 능력은 어떠한가?, 어떻게 자료수 집방법에 대한 사전검증을 할 것인가?

    • • 표본추출: 연구를 위한 가장 적절한 표본추출방법은 무엇 인가?, 가장 정보를 잘 제공할 사람은 누구인가?, 참여자 선정에 사용할 기준은 무엇인가?, 표본이 적절한가?, 자료 가 포화되었는가?

    2) 조직화단계

    • • 범주화와 추상화: 어떻게 개념이나 범주를 도출해야 하는 가?, 너무 많은 개념이 있는가?, 중복되는 범주가 있는가?

    • • 자료 해석: 분석에서 해석의 정도는 무엇인가? 참여자가 제공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시했다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 는가?

    • • 대표성: 분석 과정의 진가 입증을 어떻게 체크할 것인가?, 전체 자료의 대표성을 어떻게 체크할 것인가?

    3) 보고단계

    • • 결과 보고: 결과가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보고되었는 가? 자료와 결과가 어떻게 연결되었는가?, 개념의 내용과 구조가 분명하고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제시되었는가?, 연구자가 연구결과의 전이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 질문 이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는가?, 범주가 자료를 얼마나 잘 보여주고 있는가?, 범주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연구결과 기술에 과학적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가?

    • • 분석과정 보고: 분석과정을 충분히 기술하였는가?, 평가 준 거에 근거하여 내용분석의 진가 입증을 논의하고 있는가?

    이상에서 질적내용분석은 자료수집, 분석, 그리고 결과 보 고가 밀접히 관련이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질적내 용분석의 진가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자기비판(selfcriticism) 과 좋은 분석 기법이 필요하다(Elo et al., 2014).

    결 론

    연구자가 질적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되도록 질 적내용분석의 개넘, 분류, 분석과정,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과 질적내용분석의 비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질적내용분 석 연구의 진가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엄격한 평가기준을 가지 고 연구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질적내용분석은 연구현상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와 기술과 해석을 근간으로 하면서 수량화를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혼합방법(mixed method)으로서 연구 방법의 고찰이(Mayring, 2014)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측면에서 연구자는 많은 양의 질적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 시하는데 유용한 질적내용분석의 활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 직할 것이다. 연구자는 분석자료가 풍부하도록 연구자료에 대 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연구참여자로부터 자료수집 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질적내용분석은 방법이 다양하 여 연구자에게 혼돈을 주고 있지만 연구자는 자료의 분석과정 을 잘 숙지하고 정교한 코딩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자료의 해석 이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질적연구의 본질에 손 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 최근 질적자료분석에 컴퓨터 프로그램 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질적내용분석도 방대한 자료를 잘 관 리하기 위해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Figures

    JKAQR-2-1-56_F1.gif

    Content analysis process (Elo & Kyngas, 2008).

    Tables

    Example of Meaning Units, Condensed Meaning Units & Codes of Narratives about Hypoglycemia (Graneheim & Lundman, 2004)

    Example of Codes, Subcategories, Categories and Theme from Content Analysis of Narratives about Hypoglycemia (Graneheim & Lundman, 2004)

    Example of Themes and Subthemes Using an Inductive Approach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ho & Lee, 2014)

    Example of Subcategories and Categories Used a Deductive Approach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ho & Lee, 2014)

    References

    1. Braun, V. ,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 77-101.
    2. Cavanagh, S. (1997). Content analysis: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Nurse Researcher, 4, 5-16.
    3. Cho, J. Y. , & Lee, E. (2014). Reducing confusion about grounded theory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Qualitative Report, 19(32), 1-20.
    4. Elo, S. , Käärïäinen, M. , Kanste, O. , Pölkki, T. , Utriainen, K. , & Kyngäs, H. (201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 focus on trustworthiness. SAGE Open. 1-10.
    5. Elo, S. , & Kyngäs, H. (2008).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6. Graneheim, U. H. ,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4(2), 105- 112.
    7. Hsieh, H. ,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 1288.
    8. Kracauer, S. (1952). The challeng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16(4), 631-642.
    9. Kohlbacher, F. (2006). The us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case study research.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7(1), 1- 30.
    10. Lincoln, Y. S. ,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London.
    11. Mayring, P. (201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oretical foundation, basic procedures and software solution. Klagenfurt, Retrieved from URN: http://nbn-resolving.de/urn:nbn:de:0168-ssoar-395173 29th Mar. 2017.
    12. Morettia, F. , van Vlietb, L. , Bensingb, J. , Deleddaa, G. , Mazzia, M. , Rimondinia, M. , et al. (2011). A standardized approach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focus group discussions from different count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2(3), 420-428.
    13.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6(2), 1-8.
    14. Sandelowski, M. (1993). Rigor or rigor mortis: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revisited.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15. Schreier, M. (201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practice. London: Sage Publications.
    16. Spannagel, C. , Glaser-Zikuda, M. , & Schroeder, U. (2005). Application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user-program interaction research.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6(2), 1-17.
    17. Steve, S. (2001).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aion, 7(17), 1-10.
    18. Vaismoradi, M. , Turunen, H. , & Bondas, T. (2013).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15(3), 398- 405.
    1. Journal Abbreviation : JKAQR
      Frequency : semiannual (twice a year)
      Doi Prefix : 10.48000/KAQRKR
      Year of Launching : 2016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Indexed/Tracked/Covered By :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aqrn.or.kr

    3.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3-760-8645
      - E-mail: wwwkaqr@gmail.com